고운사 가기 전에 있는 세계최초의 법계도림을 구경하고 고운사를 찾았다.
고운사는 신라 신문왕 원년(서기 681년)에 해동 화엄종의 시조이신 의상대사께서 창건하신 사찰이다. 부용반개형상(연꽃이 반쯤 핀 형국)의 천하명당에 위치한 이 사찰은 원래 高雲寺였다. 신라말 불교와 유교ㆍ도교에 모두 통달하여 신선이 되었다는 최치원이 여지ㆍ여사 양대사와 함께 가운루(경북 유형문화재 제151호)와 우화루를 건축한 이후 그의 호인 孤雲을 빌어서 孤雲寺로 바뀌게 되었다.
고려 태조 왕건의 스승이자 풍수지리사상의 시조로 받들어지는 도선국사가 가람을 크게 일으켜 세웠으며 그 당시 사찰의 규모가 五法堂十房舍(5동의 법당과 10개의 요사채)였다고 한다. 현존하는 약사전의 부처님(보물 제246호)과 나한전 앞의 삼층석탑(경북 문화재자료 제28호)은 도선국사께서 조성하신 것들이다.
특히 고운사는 해동제일지장도량이라 불리는 지장보살영험성지이다. 옛부터 죽어서 저승에 가면 염라대왕이 고운사에 다녀왔느냐고 물었다고 하는데 지장보살님의 원만자비하신 풍모는 물론이거니와 명부십대왕의 상호와 복장도 다른 사찰에서는 보기 힘든 위엄과 정교함을 자랑한다.
이 정도 규모 이상의 고찰로서는 전국에서 유일하게 입장료를 받지 않는 고운사는 민가로부터 3km 정도 떨어져 오염되지 않은 순수함을 자랑하며 일주문에 이르는 솔밭 사이 비포장길은 부처님께 진실된 마음으로 다소곳이 다가서는 불자들의 마음처럼 포근하고 정감넘치는 모양을 하고 있다.
등운산일주문
아주까리가 실해서 한 컷
산국이 한창이다.
고운사안내문
천왕문
고불전
고운 최치원이 고운사를 대표하는 상징물이며 중심되는 건물을 지었다면 그것이 무엇일까요. 일주문을 지나 천왕문을 통과하면 풍류가 살아있는 누각으로 유명한 가운루와 우화루라는 2층 누각이 나타나는데, 이 건물을 최치원이 건립했습니다. 건물 속에 살아 숨쉬는 고운 선생이 이룬 도를 함께 느껴보며 살펴보는 것도 새로운 산사참배의 맛일 것입니다.
가운루의 현판 글씨는 유명한 고려 공민왕의 어필입니다. 공민왕은 두 번의 내란과 노국대장공주가 죽자 실의에 빠져 전국을 유람할 때 고운사를 찾아, 이후 학자로 구름에 몸을 싣고 만사를 잊고 선인(仙人)으로 돌아가고자 하여 가운루 현판을 어필로 남겼습니다.
가운루는 시도유형문화재 제151호로 지정되어 있다.
연수전
이 건물은 조선 영조 20년에 왕실의 계보를 적은 어첩을 봉안하기 위하여 건립하였다.
연수전의 구조는 만세문 현판이 걸린 솟을대문에 사방 담을 쌓고 가구식 기단에 겹처마 형식의 팔작지붕이다. 도한 연수전은 평면 형태가 사찰의 여타 전각과는 확연히 다른 모습을 취하고 있으며, 숭유억불시대에 사찰내에 배치된 왕실과 관련된 건물이라는 점이 이채롭다.
연수전은 문화재자료 제444호로 지정되어 있다.
약사전
보물 제246호 고운사석조석가여래좌상
문화재자료 제28호로 지정된 고운사삼층석탑
가운로 밑에 있는 디딜방아의 모습,
왜 저자리에 있을까?
'삶의 여유을 찾아 > 경상도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황금들녘에 한가로이 서 있는 영주신암리마애삼존석불 (0) | 2009.11.21 |
---|---|
함재선생의 별당인 소호헌을 만나다. (0) | 2009.11.18 |
세계최초의 고운사 법계도림에서 작은 소망을 빌어본다. (0) | 2009.11.11 |
의성의 또 다른 보물 관덕동 삼층석탑과 석조보살좌상 (0) | 2009.11.07 |
의성 사촌리에서 만나는 선조들이 삶의 모습을 찾아서 (0) | 2009.11.05 |